나는 아직도 함수가 어렵다..
함수의 호출방식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자.
a() , b() 함수가 있을 때, 함수의 호출방식에 따라 모두 다른 결과가 나오게 된다.
1. a(b)
- b가 전달된다, b함수 자체가 a()함수의 인자로 전달된다. a()함수 내에서 b함수가 필요한 시점에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.
// 결과화면
// I say a
// undefined : a함수가 반환값이 없기 때문에 undefined가 출력된다.
function a(){
console.log("I say a")
}
function b(){
console.log("You say b")
}
a(b)
// 결과화면
// I say a
// You say b : a함수의 결과값으로 b함수를 호출했기에, You say b가 나오게 된다.
// undefined : b함수 반환값이 없기 때문에 undefined가 출력된다.
// b함수도 반환값이 있다면,
// a함수 console.log()실행 => a함수 반환값 => b함수 console.log()실행 => b함수 반환값 순서로 나오게 된다.
function a(){
console.log("I say a")
return b()
}
function b(){
console.log("You say b")
}
a(b)
2. a(b())
- b()함수가 실행되고, 그 결과값(return값)이 함수의 인자로 전달된다
// 결과화면
// You say b : b()함수가 먼저 실행된다.
// I say a
// undefined : b함수의 결과값이 없으므로 undefined가 나온다, b함수가 먼저실행되니까!
function a(){
console.log("I say a")
}
function b(){
console.log("You say b")
}
a(b())
// You say b
// end : 이후 return 값으로 undefined가 a함수로 전달된다.
// I say a
// You say b
// end
// undefined : 전달된 b함수의 return 값인 undefined가 a함수의 return으로 나온다.
function a(){
console.log("I say a")
return b()
}
function b(){
console.log("You say b")
return console.log("end") // console.log()는 return 값으로 undefined를 반환한다.
}
a(b())
// return을 console.log()말고 다른걸로 했을 때
// 결과화면
// You say b
// I say a
// You say b
// "end" : b의 return 값이 a에게 전달되어 a의 return 값으로 나오게 된다.
function a(){
console.log("I say a")
return b()
}
function b(){
console.log("You say b")
const end = "end"
return end
}
a(b())
3. a(()=>b())
- a함수가 실행되고, b함수를 콜백함수로 호출한다, b함수의 결과 값이 나오게 된다.
// 결과화면
// a가 먼저 실행됩니다 : a함수가 실행되고
// "b is activated!" : 콜백함수로 b함수를 호출합니다, b 함수의 return값이 a함수의 리턴값으로 반환됩니다.
function a(callback){
console.log("a가 먼저 실행됩니다")
return callback()
}
function b(){
const sentence = "b is activated!"
return sentence
}
a(()=>b())
// 결과화면
// ()=>b()
function a(callback){
console.log("a가 먼저 실행됩니다")
return callback // 여기서 괄호를 없애면
}
function b(){
const sentence = "b is activated!"
return sentence
}
a(()=>b()) // a() 안의 ()=>b() 콜백함수 자체가 반환이 되버린다.
// 결과화면
// a가 먼저 실행됩니다.
// undefined
function a(callback){
console.log("a가 먼저 실행됩니다")
setTimeout(callback, 5000) // setTimout함수의 첫번째 인자는 함수 자체가 되어야 한다.
}
function b(){
const sentence = "b is activated!"
return sentence // 반환값이 함수가 아닌 문자열이므로 b is activated가 나오지 않는다
}
a(()=>b())
// 결과화면
// a가 먼저 실행됩니다
// undefined
function a(callback){
console.log("a가 먼저 실행됩니다")
setTimeout(callback, 5000) // 2. 전달된 함수가 함수 자체가 아닌 반환값이므로 b is activated가 나오지 않는다.
}
function b(){
const sentence = "b is activated!"
return sentence
}
a(b) // 1. 함수자체를 전달했지만
// 결과화면
// a가 먼저 실행됩니다
// undefined : setTimeout의 반환값이 없으므로 나오는 것, 반환하면 타이머식별자인 숫자가 나오게됨.
// 5초뒤 b is activated!
function a(callback){
console.log("a가 먼저 실행됩니다")
setTimeout(callback, 5000) // 2. 5초 뒤 b함수가 실행되면서 b is activated가 나오게 됨
}
function b(){
console.log("b is activated!")
}
a(b) // 1. 함수 자체를 전달
a(()=>b()) // 1. 함수의 반환된 값을 콜백함수로 전달한다.
4. a(()=>b)
- a함수가 실행되고, b함수가 콜백 함수로 호출된다, b함수 자체가 a함수의 인자로 전달되서 a함수 내에서 필요한 시점에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. 이거는.. 사실 아직 잘 이해가 되지는 않는다. 콜백함수에 전달할 때 함수가 실행된 후 그 반환값(함수)이 setTimeout의 첫번째 인자값으로 들어가야 하므로 a(()=>b)는 실행되지 않는다. a(()=>b())로 작성해야 실행이 된다.
// 결과화면
// a가 먼저 실행됩니다
// undefined
function a(callback){
console.log("a가 먼저 실행됩니다")
setTimeout(callback, 5000) // 2. ??
}
function b(){
console.log("b is activated!")
}
a(()=>b) // 1. b함수 자체를 콜백함수로 전달한다.
// 결과화면
// a가 먼저 실행됩니다
// undefined
// 5초 뒤 b is activated! 출력됨
function a(callback){
console.log("a가 먼저 실행됩니다")
setTimeout(callback, 5000) // 2. 5초 뒤 b함수가 실행되면서 b is activated가 나오게 됨
}
function b(){
console.log("b is activated!")
}
a(()=>b()) // 1. 함수의 반환된 값을 콜백함수로 전달한다.
'개발공부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기본기20_콜스택, 이벤트 루프, 비동기에 대하여 (0) | 2024.04.12 |
---|---|
#기본기18_ES6 클래스와 전동적인 함수생성자의 차이점과 활용성 (1) | 2024.04.03 |
#기본기17_모듈 시스템을 통한 코드의 관리 및 재사용 (1) | 2024.04.03 |
#기본기16_자바스크립트 이벤트 버블링과 캡처링은 무엇인가? (0) | 2024.04.03 |
#기본기15_localStorage와 sessionStorage의 차이 (0) | 2024.04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