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중 가장 편리한 방법은 객체리터럴 방식이다.
객체리터럴은 중괄호 안에 속성(key-value pair)을 나열하여 객체를 표현하는 것이다.
const water = {
brand : "삼다수",
capacity : 550,
factory : "jeju"
}
여기서 속성을 추가/삭제 하기 위해서는
1. 점 표기법 (Dot notation)
2. 대괄호 표기법(Bracket notation) 이 있다.
const water = {
brand : "삼다수",
capacity : 550,
factory : "jeju"
}
// 속성 추가
// 대괄호 표기법에서 속성이름이 문자열인 경우 반드시 따옴표를 사용해야한다.
//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으면 변수로 취급된다.
water.price = 1000;
water["label"] = "nolabel";
console.log(water.price) // 1000
console.log(water["label"]) // nolabel
// 속성 삭제
delete water.price;
delete water["label"];
console.log(water.price); // undefined
console.log(water["label"]); // undefined
그 외의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으로는
Object 생성자 함수
// Object 생성자 함수
const water = new Object();
water.brand = "삼다수";
water.capacity = 550;
water.factory = "jeju"
console.log(water) // { brand: '삼다수', capacity: 550, factory: 'jeju' }
'개발공부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기본기10_async / await (0) | 2024.04.03 |
---|---|
#기본기9_Promise (0) | 2024.04.03 |
#기본기7_배열에서 특정요소를 찾기 (1) | 2024.04.03 |
#기본기6_문자열 내에서 변수 사용하기 (0) | 2024.04.02 |
#기본기5_비교연산자 (==와 ===, null과 undefined) (0) | 2024.04.02 |